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래 먹거리" 로봇株 날아오를까

지난주에 핫이슈는 로봇관련주였다!

글로벌 빅테크기업들이 앞다퉈 휴머노이드 경쟁에 뛰어들며 로봇 관련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새해 증시 개장일인 지난 2일 레인보우로보틱스(29.99%), 에스비비테크(30.00%), 하이젠알앤엠(30.00%), 에스비비테크(30.00%) 이랜시스(29.82%) 등이 일제히 상한가를 기록했다. 두산로보틱스(28.11%), 클로봇(25.59%), 케이엔알시스템(25.00%), 에스피지(21.58%) 등도 20%대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 외에 아진엑스텍(19.30%), 티로보틱스(19.26%), 유일로보틱스(18.85%), 로보스타(18.26%), 삼익 THK(17.71%), 휴림로봇(17.18%), 엔젤로보틱스(16.49%), 에브리봇(16.41%), 인탑스(15.87%) 등이 급등했다. 엔비디아가 올해 상반기 휴머노이드 로봇용 소형컴퓨터 '젯슨 토르'를 출시한다는 외신 보도에 이어 삼성전자의 로봇시장 참전 소식이 전해지며 로봇산업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지난해 12월31일 최대주주 오준호 등이 삼성전자와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최대주주 변경은 삼성전자가 2023년 장외매수 당시 체결했던 콜옵션의 일부를 행사한 데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가 보유한 지분율은 기존 14.7%에서 35.0%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연결재무제표상 대금지급일인 오는 17일 삼성전자 자회사로 편입된다. 이번 콜옵션 이후 잔여수량은 458만1865주로, 전량 콜옵션을 행사할 경우 삼성전자의 지분율은 58.6%까지 늘어날 수 있다. 오는 7일로 다가온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5'도 주가 상승의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다.

휴머노이드와 로봇개는 로봇 공학의 두 가지 주요 영역으로, 각각 특정 환경과 목적에 맞게 설계되었다. 이들은 인간의 노동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며, 재난 구조, 산업 자동화, 그리고 인간과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 휴머노이드 로봇

1.1 정의와 구조: 휴머노이드는 인간의 신체 구조를 모방한 로봇으로, 인간의 동작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기본적으로 머리, 상체, 팔, 다리, 그리고 관절로 구성되며, 인간과 유사한 크기와 비율을 가진 것이 일반적이다. 머리: 카메라와 센서를 내장해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수집. - 상체: 복잡한 작업을 위한 팔과 손이 부착되어 있음. - 다리: 균형을 유지하며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주요 부위. - 동력 장치: 서보 모터, 유압 시스템, 또는 전기 구동 장치를 사용.

1.2 주요 기술 1) 인공지능(AI): 음성 및 얼굴 인식 기술. 자연어 처리(NLP)를 통해 인간과의 대화 가능. 자율 학습을 통해 환경 적응. 2) 센서 시스템: 카메라, 라이다(LiDAR), 초음파 센서를 활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식.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균형 유지. 3) 운동 제어:   정밀한 관절 제어로 인간과 유사한 동작 수행. 역학 모델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걷기와 뛰기 구현. 1.3 응용 분야 1) 서비스 로봇: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역할. 레스토랑에서 주문을 받고 음식을 서빙. 2) 재난 구조: 위험 지역에 투입되어 인명을 구조.예를 들어, Fukushima 원전 사고 현장에서 방사능 지역 조사. 3) 산업 자동화: 공장에서 인간과 협력해 작업 수행. 반복적이고 정밀한 작업에 적합. 4) 연구 및 교육: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에 활용. 학생들을 위한 교육 도구로 사용. 1.4 대표적인 휴머노이드 1)소피아(Sophia):  2016년 홍콩의 핸슨 로보틱스가 개발. 감정을 표현하며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시민권을 가진 로봇. 2) 아틀라스(Atlas):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다목적 휴머노이드. 고난도 체조 동작, 점프, 장애물 넘기 등 가능.

2. 로봇개

2.1 정의와 구조: 로봇개는 동물 형태를 모방한 네발 로봇으로, 주로 안정성과 민첩성을 강조한 설계가 특징이다. 험난한 지형에서도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군사, 재난 구조, 산업 현장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머리: 센서와 카메라 장착. 다리: 고도의 기계적 설계로 높은 이동성 확보. 본체: 배터리,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내장.

2.2 주요 기술 1)동적 안정성: 다리의 독립적 움직임을 제어해 다양한 지형에서 균형 유지. 빠른 이동과 점프가 가능. 2) 자율 주행 및 센싱: 라이다(LiDAR), 초음파 센서, 카메라를 통해 환경 인식. 경로 계획과 장애물 회피 능력. 3) 원격 제어: 무선 통신을 통해 사람이 로봇의 동작을 제어 가능. 2.3 응용 분야 1) 군사 및 보안: 정찰 임무, 폭발물 탐지 및 제거. - 테러 방지 및 감시. 2)재난 구조: 건물 붕괴 현장에서 인명 탐색. 물품 운반 및 긴급 구조 지원. 3) 산업 현장: 물류 창고에서 물건 운반. 시설 점검 및 유지 보수. 2.4 대표적인 로봇개 1) 스팟(Spot):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상업용 네발 로봇. 산업 현장과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 2) 아니말(ANYmal): - ETH Zurich가 개발한 로봇으로,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

3. 휴머노이드와 로봇개의 비교

 4. 발전 방향

1) 에너지 효율성: 더 작은 배터리로 더 긴 시간 작동 가능. 재생 가능한 에너지 활용 기술 개발. 2) 협업 능력:  인간과 로봇 간의 자연스러운 협력. 팀 기반 로봇 작업 연구. 3) 감각 및 지능 향상: 고해상도 센서와 정밀한 인식 능력. 딥러닝을 통한 자율 학습. 4) 다목적 설계: 다양한 환경과 작업에 적응할 수 있는 모듈형 구조. 공통 플랫폼 기반의 설계 확산.

5. 결론

휴머노이드와 로봇개는 각각 독특한 설계와 기술적 강점을 바탕으로 인간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들의 융합적 활용은 앞으로 더 많은 산업과 삶의 영역에서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6. 주식맵으로 관련주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반응형